728x90 반응형 요리138 생강청만들기:: 생강차만들기& 생강씻는법/ 생강껍질째 청만들기/ 생강의 효능 /부작용 겨울철 차 한잔으로 몸을 후끈 달아오르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바로 생강차입니다. 김장철 싱싱한 생강이 많이 나오는 데요. 김장 준비할 때 생강차 만들 생강까지 여유 있게 준비하여 생강차를 만들면 월동 준비 끝입니다. 생강차 한잔은 몸을 따뜻하게 해서 여러 가지 증상을 낫게 하는데요. 예를 들어 배가 차서 설사를 자주 하는 분들에게도 좋고요. 몸이 늘 무겁다고 생각되면서 피로에 지쳐있는 분들에게도 좋아요. 저는 특히 겨울철 손발이 차가워서 생강차를 자주 마시게 되는 데요. 요즘을 손발이 따뜻해졌는데요. 겨울에 몸에 냉기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생강차를 준비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생강차 만드는 법을 기록합니다. 생강의 효능 : 에 생강을 계속 먹으면 신명에 통한다고 적혀 있습니다. 생강에는 진저롤과 솔.. 2023. 11. 28. 배추짠지 담그는법 :: 배추짠지 재료준비& 소금물 만들기 /배추짠지 먹는법 / 더운여름에 좋은 반찬 저는 김장할 때 여름을 위한 김치를 먼저 준비합니다. 그것은 바로 배추짠지입니다. 어린 시절 어머니께서는 덜 자란 배추를 소금에 절인다음 깨끗이 씻어서 배추짠지를 만드셨는데요.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날이 더워질 때 먹게 되는 배추짠지는 식욕을 잃어갈 때 밥도둑역할을 해줬던 소중한 반찬이었던 것 같습니다. 배추짠지는 맛이 깔끔하다고 해야 할 것 같아요. 지난여름 동창생이 놀러 왔는데 집에서 식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동창생의 젓가락이 배추짠지무침으로만 가는 거예요. 그러면서 맛이 깔끔해서 좋다고 하며, 요즘 먹어보기 힘든 반찬이라고 하면서 어렸을 때 그 맛이 그대로 살아있어서 너무 좋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동창생이 돌아갈 때 조금남은 배추짠지를 몇 쪽 싸줬습니다. 쉽게 담글 수 .. 2023. 11. 27. 무밥 만드는 법 :: 무밥물과 쌀의 비율 & 양념장 만들기/무의효능ㅡ 우리 집에 감기환자가 생겨서 감기에 좋은 무를 재료로 요리를 하려고 준비하다, 입맛을 살려주고 싶어서 무밥을 했습니다. 무는 감기에 효능이 있는 식재료이기 때문에 가족들이 감기가 걸리거나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서 겨울철에 자주 해 먹는 무밥을 지어보고 무밥 만드는 법과 양념장 만드는 법을 기록합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따뜻한 무밥에 고소한 양념장으로 밥을 비벼먹으면 감기로 자칫 잃게 되는 입맛을 되돌릴 수 있거든요. 그래서 오늘 무밥을 지어봤는데요. 김장철 무는 정말 달고 맛있어서 무밥의 맛도 한층 더 맛있습니다. 무의 효능: 뭇국에 파의 흰 부분을 넣고 푹 끓여서 고춧가루 풀어서 먹으면 감기가 낫는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무는 감기와 뗄 수 없는 재료인데요. 무는 기침, 가래, 천식, 등에 좋다고 합.. 2023. 11. 26. 동치미담그는법:: 2인가족 동치미담그는법 & 무절이는 시간/ 국물만드는 법/ 무의효능 어린 시절 어머니가 담가주신 동치미맛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 어머니와 동치미국물에 대한 추억이 있을 것입니다. 예전 시골에서는 무가 일찍 얼어붙어서 동치미와 알타리김치, 총각김치, 깍두기를 배추김장하기 전에 먼저 합니다. 그중에서도 밤야식으로 고구마 화롯불에 구워서 얼음이 동동 뜬 동치미 한 그릇 퍼서 함께 먹으면 그 맛 지금도 잊을 수 없는 추억입니다. 나이를 먹어도 엄마의 손맛동치미맛은 잊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엄마의 손맛동치미를 담갔습니다. 이제는 아이들은 다 떠나고 빈둥지인 부부만 남아 그것도 예전 같지 않게 씹는 힘이 약해져서 무를 먹기 좋은 크기로 나박 썰기 해서 동치미를 담급니다. 오늘은 2인가족을 위한 동치미를 담그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동치미 무 절이는 시간과 동치미국물 만드는 .. 2023. 11. 2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5 다음 728x90 반응형